본문 바로가기

Feature

Salted and Fermented Foods

By Joo Young-ha

Pickled anchovy (myeolchi jeot). This salted fermented anchovy can be seasoned to serve
as a side dish or used as an ingredient in kimchi.

Lifespans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early humans started to use fire for cooking. Proto-humans sometimes survived on the leftover flesh of prey abandoned by lions and hyenas. Once they mastered the use of fire, they started to hunt large animals themselves. The problem remained of the rotting of the meat, with its organic substances such as proteins and fat being decomposed by aerobic microorganisms. Spoiled meat could seriously impact the health of those who consumed it. Until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hen industrial food processing, artificial refrigeration, and freezing became widespread, cooking practices placed a great emphasis on slowing the process of decay.

Jeotg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When it comes to the preservation of meat or fish, drying in the sun or wind was long the simplest and most economical method known. However, drying deprives food of moisture and much of its original flavor. Smoking is another good way to slow the process of decay, but the resulting smoky flavor can be excessive. Salting was often seen as the best method for preserving the authentic flavors of food over long periods. Meat or fish could be soaked in brine or crusted with salt. One of the definitive Korean foods made through brining is jeotgal, or “pickled fish.”

Pickled shrimp (saeu jeot). Pickled shrimp is mainly used for making kimchi.


Pickled damselfish (jari jeot). Pickled damselfish is a local specialty of Jeju Island.

The word jeotgal is comprised of two components—jeot meaning “soaked and fermented” and gal meaning “a pile of things.” Jeotgal is made by alternating layers of fish and salt in a jar. When salt is sprinkled over the muscles, intestines, and reproductive organs of fish, an enzyme is produced that breaks down proteins into amino acids. This process is described as sakida in Korean, or “fermentation.”

Three ships dating to the early 13th century were excavated in 2009 off the coast of Taea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longside dried mussels and dried abalone was found a jar of salted abalone. It appears to have been a form of jeotgal made from abalone caught off the coast of Gangjin in Jeollanam-do Province. People on Jeju Island call the intestines of abalones ge-ut. Pickled abalone intestines, or ge-ut jeot, is the favorite type of jeotgal among the islanders.

Herring, known for its high protein and fat content, was caught in large quantities off the western coast of Korea until th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era (1392–1910), herring was enjoyed dried or dried and then grilled. Affluent people made jeotgal with herring.

A recipe for herring jeotgal is included in Understanding the Taste of Food (Eumsik dimibang), the first cookbook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Its author Jang Gye-hyang (1598–1680) states, “As herrings can be spoiled when washed in water, they should be cleaned with a cloth. In a clean and dry jar, add 3.2 kilograms of salt for every 100 herring.”

The court doctor Yu Jung-rim (1705–71) relates in his book Expanded Edition on Farm Management (Jeungbo sallim gyeongje): “In a bamboo basket, place a layer of herring and scatter salt; place another layer of herring and scatter salt. Cover it with a straw mat and leave it overnight. The watery substances from the herring will all be drained away. Place these herring in a jar and again sprinkle them with salt. It will be ready for consumption in six months or a year.”

Herring jeotgal made according to the directions in Understanding the Taste of Food exudes a putrid smell like the Swedish fermented herring surströmming. For the Joseon people who could not afford beef, however, it was a good source of protein and fat.

Sikae Born from a Mixture of Salt and Grain

There is a form of jeotgal called sikae, a word consisting of two Chinese characters respectively meaning “eating” and “soaking in brine.” Yi Gyu-gyeong (1788–1856), a late-Joseon scholar of Silhak, or “Practical Learning,” writes that people in fishing villages made sikae with various kinds of fish including Chinese tapertail anchovy, large-eyed herring, shrimp, squid, octopus, long-legged octopus, baby octopus, clam, mussel, flatfish, dried pollack, and sardine.


Flatfish sikae. Flatfish is mixed with grain, red pepper powder, and salt, and then fermented. Flatfish sikae is characterized by its spicy and acid flavor.

To make a sikae, first cook rice and then mix it with barley malt, powdered nuruk (a traditional Korean fermentation starter), and water. Leave the nuruk mixture for a few days to ferment. Any surface moisture should be removed from the selected fish before they are half-dried, chopped into pieces, and mixed with salt. The salted fish pieces should be inserted in the nuruk mixture and left to sit for about 10 days to become ready for consumption. People in Samcheok and Gangneung in Gangwon-do Province still use flatfish and millet to make flatfish sikae.

Pickled fish is an essential secondary ingredient for making cabbage kimchi.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well-off households in Seoul considered pickled shrimp a must in cabbage kimchi. The fermented shrimp enrich the taste of kimchi with flavors derived from their protein and fat. With catches of anchovy increasing in the 20th century, pickled anchovy started to be used in kimchi making as well. Kimchi with pickled fish added develops a fishy smell, however, so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ginger are used in greater quantities. Pickled fish, or jeotgal, endows kimchi with a distinct flavor that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forms of fermented vegetables such as pickle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Chinese pao cai, or Japan’s tsukemono.

Fermented skate (hongeo hoe). Fermented skate is dipped in a red pepper paste diluted with
vinegar or accompanied by ripened kimchi.

Fermented Skate with the Pungent Flavor of Urea

There is one fish that can be fermented without salt—a type of skate known for its pungent flavor. In the 15th century fishermen would often bring in an abundant catch of skate in the waters around Heuksando Island off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Once a crew of them smelled a strong ammonia-like odor coming from some left-over skate and presumed the fish was decaying. However, they were unwilling to just toss away the result of their hard work and decided to taste it. They developed no stomachaches and thought the fish tasted wonderful. The news spread through the southern Jeolla region and fermented skate, or hongeo hoe, became established as a local specialty.

Skate have soft cartilaginous bones. Swimming on the ocean floor 80–100 meters deep, skate develop large amounts of urea to control the process of osmosis. When alive, they excrete the urea through the skin, but it remains trapped within them after death. This urea decomposes into ammonia. In the proper environment, the ammonia eliminates decay-causing microorganisms and softens the flesh. Such skate does not immediately rot, even unrefrigerated. The pungent smell simply gets stronger with time.

Even as jeotgal was falling out of favor with the advancement of storage techniques, the popularity of fermented skate only increased. Restaurants in Jeollanam-do Province drew on the craze for fermented skate to create a new dish called hongeo samhap, or “skate trio.” It is a dish setting fermented skate alongside boiled pork slices and cabbage kimchi. As people moved from Jeollanam-do to Seoul, this “skate trio” was transported to the capital. Starting in the 1990s, this novel dish became established as a national food.

It is not really science that draws a line between fermentation and decay. Fermented foods that are popular in one community might be shunned as rotten in another. In this sense, it is the shared culture within a certain community that decides the meanings of fermentation and of spoilage. It all depends on the collective experience that perceives the flavors from the decomposition of food as well fermented rather than rotten. Pickled fish, sikae, and fermented skate are all foods that are, in the words of the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évi-Strauss, “good to think with” for Korean people.





소금에 절이고 삭힌 한국 음식

인류의 생명은 불로 음식을 익혀 먹으면서 획기적으로 길어졌다. 사자나 하이에나가 먹고 남은 고기를 훔쳐 먹었던 초기 인류는 불을 장악한 후 자신의 몇 배나 되는 큰 덩치의 동물을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고기의 부패였다. 부패는 고기의 단백질이나 지방 같은 유기물이 공기 속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썩은 상태이다. 부패한 고기를 먹고 많은 사람이 병에 걸리기도 했다. 그렇다보니 산업 식품(industrial food)의 생산, 냉동고와 냉장고의 보급이 이루어진 19~20세기 초중반 이전의 요리법은 대부분 부패를 지연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젓갈, 소금에 절여 삭힌 더미


고기를 햇볕과 바람에 말리는 방법은 가장 쉽고 경제적이지만 수분 대부분을 제거해버려 고기의 원래 맛을 잃게 했고, 훈제(smoking)도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지만, 연기로 인해 생긴 맛이 단점이었다. 고기를 소금에 절이는 방법(salting)은 본래의 맛을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소금에 절이는 방법은 고기를 잘게 쪼개서 소금이나 소금물에 절이는 방법(brining)과 고기의 표면에 소금을 바르는 방법(curing)이 있다. 한국의 젓갈은 생선의 고기와 내장을 소금에 절인 음식으로 전자(brining)의 방법으로 만든다.

생선을 소금에 절인 음식을 한국어로 ‘젓갈’이라고 부른다. ‘젓’은 절여서 삭혔다는 뜻의 한국어다. ‘갈’은 차곡차곡 쌓아 둔 더미를 이른다. 젓갈은 손질한 생선을 항아리에 한 켜 깔고 그 위에 소금을 뿌리고, 다시 한 켜를 깔고 소금을 뿌리는 방법으로 만든다. 손질한 생선의 근육·내장·생식소 등에 소금을 뿌리면, 고기 속에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생긴다. 효소는 생선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만든다. 이런 상태를 한국어로 ‘삭이다’라고 부른다.

2009년, 충청남도 태안반도 바다에서 13세기 초반의 배 세 척이 발굴되었다. 그중 하나의 배에는 말린 홍합, 말린 전복 등과 함께 소금에 절인 전복이 항아리에 담긴 채 나왔다. 아마도 전라남도 강진군의 바다에서 채취한 전복으로 젓갈을 만든 듯하다. 제주도 사람들은 전복의 내장을 ‘게웃’이라 부른다. 게웃젓은 제주도 사람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는 젓갈이다.

다른 생선에 비해 단백질과 지방의 양이 많은 청어는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서해안에서 많이 잡혔다. 조선 시대 사람들은 말린 청어를 굽거나 날로 먹었으나 부유층에서는 청어로 젓갈을 담갔다.

한글로 쓰인 요리책 중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디미방》의 저자인 장계향(1598~1680)은 청어 젓갈 만드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적어놓았다. “청어를 물에 씻게 되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가져온 그대로 천으로 닦는다. 깨끗하고 수분이 없는 항아리에 청어 100마리마다 소금 3.2kg을 넣는다.”

조선 왕실의 의사였던 유중림(柳重臨, 1705~1771)은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라는 책에서 한문으로 청어 젓갈 제조법을 다음과 같이 적어놓았다. “대바구니에 청어를 한 켜 깔고 소금을 뿌리고 그 위에 다시 청어를 한 켜 깔고 소금을 뿌린 다음 볏짚으로 만든 거적때기를 덮어 하룻밤이 지나면 청어의 즙이 아래로 모두 빠진다. 이 청어를 항아리에 넣고 다시 소금을 켜켜이 뿌린다. 6개월 후에 먹을 수 있고, 다음 해에 먹어도 맛이 좋다.”

《음식디미방》의 요리법으로 청어 젓갈을 만들면 스웨덴의 절인 청어 surströmming처럼 냄새가 지독하다. 그러나 소고기를 먹기 어려웠던 당시 사람들에게 청어 젓갈은 단백질과 지방을 고루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었다.

소금과 곡물 밥의 지혜, 식해


‘식해’라는 젓갈도 있다. ‘식해’의 한자는 먹는다는 뜻의 ‘식’과 소금에 절인다는 뜻의 ‘해’로 구성된다. 조선 후기 만물 박사 이규경(1788~1856)은 당시 어촌 사람들이 웅어·밴댕이·새우·오징어·문어·낙지·꼴뚜기·조개·홍합·가자미·북어·정어리 등의 생선으로 식해를 만들고 있다고 했다.

식해를 만들려면 먼저 ‘누룩밥’을 만들어야 한다. 누룩밥은 멥쌀로 지은 밥에 많은 양의 엿기름, 보리나 밀의 속껍질로 만든 누룩의 가루, 그리고 물을 섞어 며칠 동안 숙성한다. 생선은 물기를 제거하고 꾸덕꾸덕 말린 다음 잘게 썰어 약간의 소금을 뿌리고 버무린다. 소금에 절인 생선 조각을 누룩밥에 넣고 약 10일 정도 숙성시키면 식해가 완성된다. 강원도의 삼척과 강릉 일대 사람들은 가자미와 메좁쌀로 ‘가자미식해’를 만든다.

배추김치를 담글 때 빠지지 않는 부재료이다. 18~19세기가 되면 서울의 부유층 가정에서는 서해에서 많이 잡은 새우로 담근 새우젓을 배추김치 담글 때 반드시 넣었다. 새우젓은 김치에 고기의 단백질과 지방의 맛을 더해주었다. 20세기 이후 남해에서 잡히는 멸치의 양이 많아지자 소금에 절인 멸치젓을 김치 담글 때 부재료로 넣었다. 젓갈이 들어간 김치에는 생선의 비린내가 났고, 이 냄새를 줄이기 위해 고춧가루·마늘·생강 등이 더욱 많이 들어갔다. 젓갈은 유럽과 북미의 피클(pickle), 중국의 파오차이(pao cai), 일본의 츠케모노(tsukemono)와 전혀 다른 맛의 김치를 탄생시켰다.

홍어의 요소가 만드는 삭힌 맛


소금에 절이지 않는데도 삭힌 맛을 내서 사람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생선은 홍어다. 15세기 서해의 흑산도 어부들은 근처의 바다에서 홍어를 많이 잡았다. 그들은 실온에 그냥 둔 홍어에서 독한 암모니아 냄새가 나 부패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홍어를 그냥 버리기 아까워 먹은 사람들은 배탈도 나지 않으면서 삭힌 맛이 매우 좋음을 알았다. 이 소문이 퍼지면서 전라남도 사람들은 삭힌 홍어를 맛있는 음식으로 여겼다.

홍어는 뼈가 연한 생선이다. 80~100m 깊이의 바다에서 바닥을 유영하는 홍어는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한 물질로 요소(urea)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살아 있는 홍어는 피부를 통해 요소를 몸 밖으로 배출한다. 그러나 죽은 홍어의 피부에는 요소가 가득 차 있다. 요소는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변한다. 좋은 조건에서 숙성된 홍어의 암모니아는 부패 미생물을 제거하고 고기를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홍어는 한동안 실온에 두어도 부패하지 않지만 암모니아 냄새는 더욱 강해져서 이것을 처음 먹는 사람들은 부패했다고 판단하고 먹을 엄두를 내지 못한다.

보관 기술의 발달로 젓갈이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질 때에도 삭힌 홍어회는 날로 인기가 좋았고, 값이 올랐다. 홍어회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는 홍어회에 돼지 수육과 묵힌 배추김치를 곁들인 ‘홍어삼합’이란 메뉴를 내놓았다. 전라남도 농촌 사람들이 서울로 이주하면서 서울에도 홍어삼합 전문 음식점이 생겼다. 1990년대 이후 홍어삼합은 국민 음식(national food)이 되었다.

발효와 부패는 과학의 전문 용어만은 아니다. 어떤 공동체 사람들은 발효한 음식이라고 알고 즐겨 먹지만, 다른 공동체 사람들은 그것을 부패했다고 판단하고 멀리한다. 따라서 어떤 음식을 두고 사람들이 발효와 부패를 가르는 기준에는 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문화가 있다. 부패가 아니라, 발효되어 잘 삭힌 맛이라는 판단에는 같은 공동체 사람들이 함께한 경험이 담겨 있다. 삭힌 맛의 젓갈과 식해, 그리고 홍어회는 한국인에게는 ‘생각하기에 좋은(good to think)’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