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ature

Joseon as
a ‘Country of Hats’

By Lee Min-joo

To the first Westerners to enter the Far Eastern country of Joseon (1392–1910), Korean clothing must have been a novelty. An everyday outfit for a Joseon man consisted of a white jacket and trousers topped by—again—a white overcoat. A dose of style and dignity was brought to this somewhat monotonous costume by a black horsehair hat known in Korean as a gat. The illusion of a stature heightened by an additional 20 centimeters or more was an inadvertent addendum to the dapper impression created by these hats. The combination of black and white has always been one of the simplest but most confident recipes for a striking look across cultures. The stylish contrast of black and white combines with th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to produce a unique type of dress that might have come across as refreshing to Westerners.

Jeollip A woolen hat for military officers that would be decorated with peacock feathers


Heungnip A horsehair hat for outings

Diverse Gat for Different Statuses and Occasions

For Joseon men, hats were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body. Outings of any kind were not considered possible without wearing hats. These hats also served as a signifier of social class and function. The most common type of traditional Korean headgear was the chorip, a brimmed hat made of bamboo strips or straw. Bamboo hats were popular among young men who had not yet reached their coming of age. This simple bamboo hat could be made flamboyant, however, with additional decoration. Chorip were a perfect headdress for byeolgam officials, who were renowned in Joseon society for their sharp sense of fashion. Byeolgam was an official designation for those who escorted the royal palanquin in a procession. They were of a relatively low rank in the bureaucratic hierarchy of the Joseon court, but could wield great power since they attended directly at the side of the king or crown prince. These royal escorts dressed in green inner coats and red outer coats topped by an orange chorip. The decorative appendages on their bamboo hats were immodestly ornate, eloquently announcing where the actual influence resided.

The hats of choice for military officers were jurip (“red hats”) and jeollip (“woolen hats”). A black horsehair hat was coated in red lacquer to create a jurip, and wool was used for jeollip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rain or snow. To accompany the red-lacquered or pelt hats on their heads, the military officers of Joseon wore jackets with pleats (cheollik) or narrow-sleeved jackets (hyeopsupo) that allowed mobility in combat. Meanwhile, Korean shamans dress like Joseon military officers during their shamanic rites: they wear woolen hats and a military uniform and carry a sword in each hand. This costume for shamans indicates that they are warriors fighting back evil spirits just as Joseon military officers did with enemy soldiers.

Joseon men wore baengnip, or “white hats,” during times of mourning the death of a parent or the king. Hats covered in white hempen cloth inspired a state of mind for taking the utmost care with both act and word.

Joseon hats served as an instinctive marker of the wearer’s social status, as well as his specific situation.

Baengnip A hat covered in white hemp that was worn during a period of mourning


Sangtugwan A cap worn to cover small topknots

Joseon Men’s Hair Care for Wearing Gat

The act of wearing a gat started with arragning the hair into a topknot, the classic hairstyle for Joseon men. The strands of hair were all neatly ordered and tied together at the top of the head. The size of the knot of hair was a matter of style. A man with thick hair would shave the area around the crown of the head and create a knot of the desired size. In contrast, those with thin hair covered their small topknots with “topknot caps” (sangtugwan). Through such tricks, all men could create a topknot in the preferred size. Tying a topknot was just the beginning of the preparations for wearing a hat. A hairband called a manggeon was essential as well. These horsehair headbands were wrapped around the forehead to prevent even a single strand of hair from going astray. They were wrapped tight to the point of pain. Why would Joseon men willingly suffer so? An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found in the portrait of the late-Joseon literati Kang Yi-oh, designated as Treasure No. 1485. His forehead below the hairband appears tightened and even embossed, and the eyes and brows are slightly lifted at the ends. There is no sign of dullness or clumsiness. With this sense of tension in his face, he looks sharp, driven, and younger. This must have seemed a worthwhile tradeoff for the pain of the constrictive hairband.

After hair arrangement had been completed, an inner hat called a tanggeon was set on the head. Tanggeon could be worn alone at home like other indoor hats, but they also made up part of the outdoor headgear that went underneath a gat.

Finally, a gat could complete the process. The horsehair hat was not forcefully accommodated to the shape of the head, but just lightly set on top. In this way, the crown could maintain its dignified form while the brim cast a gentle shade over the face.

Each gat had two types of straps. One, a strip of silk that could be tied beneath the chin, was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securing the hat. The other was a string of coral, amber, or crystal beads that hung loose to the chest or even to the belly, simply for decorative purposes. This ornamental strap called a paeyeong also kept walking speed in check. If a man hastened his walk or started running, the decorative strap could become tangled. A man with a gat was forced to practice a calm dignity in his walk.

As seen above, Joseon hats came in a variety of shapes and colors and were considered an inescapable aspect of dress. One of the most descriptive nicknames for Joseon is certainly a “country of hats.”

Jurip A “red hat” worn by military officers


Jurip Left_ Portrait of Kang Yi-oh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enter_ Jeongjagwan, an everyday indoor hat for the literati
Right_ Tanggeon, an inner hat worn beneath a gat





Jurip A “red hat” worn by military officers

Geumgwan A “gold hat” worn by civil servants for celebratory ceremonies


Jegwan A ritual hat worn by civil servants when participating in sacrificial rites





조선, 모자의 나라

개항기 파란 눈에 비친 조선의 복식은 새로움 그 자체였다. 흰색 바지저고리 위에 입은 흰색 두루마기는 조선 남자들의 기본 의복이다. 어쩌면 단조롭게 느껴진다. 그러나 그 위에 검은색 갓을 올려놓는 순간 키는 20cm 이상 커지고 흰옷은 결코 단조롭지 않은, 오히려 절제된 미와 단아함을 만들어내며 세련미를 극대화한다. 흑백의 조화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익숙하면서 세련된 조합이다. 거기에 한국적 새로움이 부가되면서 ‘낯섦’이 아닌 ‘신선함’을 장착한 독창적인 패션이 탄생한다.



신분과 상황에 따라 달리 쓰인 갓


조선시대 남자들에게 모자는 분신과도 같다. 언제 어디를 가든 모자를 써야 비로소 외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모자에는 각자의 신분과 역할이 담겨있다. 가장 일반적인 갓은 풀이나 대오리로 엮어 만든 초립이다. 초립은 관례를 치르기 전 어린 남자들이 주로 사용했다. 이 초립은 화려하게 꾸미면 그 어떤 모자보다도 화려해진다. 조선최고의 멋쟁이라고 하는 별감이 놓칠 리 없다. 별감은 말직에 속한 관리이지만 능행 등의 행사가 있으면 가장 가까이에서 왕이나 왕세자를 모신다. 그 힘에 기대어 위세를 부리는 것이 차림새만큼이나 대단하다. 이들은 푸른색 창의 위에 홍의를 입고, 주황색의 초립을 쓰는데, 갓 위에 호수를 꽂는 등 장식도 화려하다. 누가 보아도 실세(實勢)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군사(軍事)와 관련된 무관들은 주립(朱笠) 또는 전립(氈笠)을 쓴다. 주립은 흑립과 형태는 같지만 색이 붉다. 전립(戰笠)은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것이다. 동물의 털로 만들어지다 보니 비가 와도 눈이 와도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무관들은 몸을 가볍고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소매가 넓은 도포를 입고 싸울 수는 없다. 활동성이 좋은 철릭이나 소매가 좁은 협수포를 입고 그 위에 전복을 입으면 막강한 전투력이 장착된다. 이제 적과 싸워 이기면 된다. 한편 무녀들도 전립을 쓰고 구군복을 갖추어 입은 채 양 손에 칼을 쥐는데, 이렇게 군복으로 코스프레를 한 것은 무녀 역시 병마 또는 악귀와 싸워 물리쳐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백립은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보무님이 돌아가셨을 때 착용한다. 자기 자신은 물론 주변을 경계하고 근신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모자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의 모자는 일종의 신분증이자 자신이 처한 상황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메신저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갓을 쓰기 위한 남자들의 관리법


남자들의 멋진 갓은 상투 틀기에서 시작된다. 상투는 조선시대 성인남자들의 대표적인 머리양식이다. 상투는 긴 머리를 틀어 올려 정수리에 묶는 방법인데 이때 상투의 크기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머리 숱이 많은 경우에는 제일 먼저 상투를 틀어야 하는 정수리 주변의 머리를 밀고, 주변머리를 걷어 올려 하나로 묶은 다음, 원하는 크기로 돌려 감아 남자의 비녀인 동곳으로 상투를 고정한다. 머리 숱이 없을 때는 상투관을 써 작은 상투를 가린다. 간편하면서도 멋쟁이 소릴 들을 수 있는 묘책이다.

상투를 틀면 그 위에 바로 관을 쓸 수 있다. 그러나 한 올의 머리카락도 빠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망건’이라고 하는 머리띠를 둘러야 한다. 조선 사람들은 이 망건을 통해 더 젊고 샤프해 보이고자 망건을 고통스러울 만큼 단단히 맸다. 왜 그런 고통을 불사했을까? 망건을 단단히 친 강이오의 초상화에 그 답이 있다. 이마의 위아래가 눌리고 눈썹의 꼬리가 살짝 올라갔다. 이마는 팽팽해지고 심지어 볼록하게 튀어나오기까지 한다. 눈꼬리도 눈썹을 따라 올라갔다. 어느 곳 하나 어리석어 보이거나 희미해 보이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긴장된 모습이 의욕적으로 보이고 젊어 보인다. 고통도 불사할 수 있는 가치이다.

이렇게 기본적인 머리정리가 끝나고 나면 그 위에 탕건을 쓴다. 탕건은 집에 있을 때 정자관, 동파관, 사방관 등과 같이 단독으로 쓰기도 하지만 외출할 때 갓 아래 받쳐 쓰기도 한다.

이렇게 기본 정리가 끝나면 그 위에 갓을 쓴다. 갓은 머리에 꾹 눌러쓰지 않는다. 그저 정수리에 얹어 놓으면 그만이다. 총모자 부분이 온전하게 형태를 유지하고, 또 양태가 은은하게 빛을 투과하며 신비로운 음영(陰影)을 만들어내는 계산에 의한 것이다.

갓에는 두 종류의 끈이 필요하다. 하나는 갓을 고정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목적의 끈으로, 얇은 비단으로 만들어 턱밑에서 묶는다. 다른 하나는 산호, 마노, 호박 등의 원석과 대나무 등으로 만든 ‘패영’이다. 패영은 짧게는 목 근처까지, 길게는 배까지 늘어뜨린다. 장식으로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걸음걸이를 통제하는 기능도 겸한다. 뛰거나 빠른 걸음을 옮기다 보면 갓끈이 꼬이기도 하고 갓끈이 뒤집어지기도 한다. 걸음은 자연스럽게 느려지고, 삶에는 여유가 묻어난다.

색상과 소재에 따라 이렇게 다양한 모자가 존재했던 나라가 과연 있었을까? ‘모자의 나라, 조선’이라는 말이 가슴 깊이 와 닿는 것은 진정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