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
The Sound of Nature: Daegeum and Taepyeongso
By Mun Bong-seok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a product of nature: natural materials are shaped into devices that aspire to recreate the sounds of nature. The tones of traditional Korean woodwinds in particular resemble the sounds of trees in the wind. Among these, the daegeum (large transverse flute) and taepyeongso (double-reed oboe) generate contrasting but harmonious sounds like elements of nature.
The preface of Akhak gwebeom, a musical canon compiled in 1493 as a nine-volume overview of the musical culture of Joseon (1392–1910), states, “Music comes from heaven and goes to man; music is born from the void and completed in nature. Music touches the mind, puts the blood into circulation, allows the heart to beat, and keeps the consciousness on alert.” These phrases relate that instrument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such as Korean traditional versions, function as an integral vessel for music.
Over one hundred type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have been transmitted to today. These include those invented in Korea, some imported from abroad, and others that originated overseas but were adapted for local use.
Korean instruments are normally classified into wind, strings, and percussion, according to how the sound is produced. Among these classes, wind instruments can be further divided based on how they are held or if they use reeds. There are, for example, horizontally held hoengjeok (“transverse flutes”) and vertically held jongjeok (“lengthwise flutes”).
Among the eight traditional materials for musical instruments (pareum), no Korean wind instruments use stone, silk, or leather. Out of the five they do apply (metal, bamboo, gourd, clay, and wood), bamboo is by far the most popular. In particular, transverse wind instruments are only fashioned from bamboo.
Kim Chung-hwan playing the daegeum in a traditional literati robe.
The way Korean wind instruments produce sounds is no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e West. The nabal, a Korean brass instrument, is played by vibrating the lips just like the trumpet. Among Western woodwinds, there are examples with or without reeds (thin strips of cane or metal attached to an instrument to produce sound). The clarinet and oboe are two examples that use reeds. The classical Korean woodwind using a seo (“tongue”), which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a Western reed, is the taepyeongso. There are some in which sound is created by blowing across an embouchure hole like a flute or recorder. The Korean woodwind daegeum operates in this way.
Made from diverse natural materials, Korean wind instruments have long maintained unique characteristics, but they also share manners of playing with Western instruments in the search to create the best sounds possible.
Heavenly Sounds Born from Bamboo: Daegeum
The daegeum, or large transverse flute, comes in two varieties: one reserved for court or aristocratic music (jeongak daegeum) and the other for folk music (sanjo daegeum). The latter was invented after the 19th century for playing the unique Korean style of solo instrumental pieces known as sanjo. A sanjo daegeum is physically shorter and covers a range one note higher that a jeongak daegeum.
Hard and thick-fleshed bamboo is used for making large transverse flutes, which normally extend about 78 centimeters (the standard for a jeongak daegeum), the longest among traditional Korean wind instruments. An embouchure hole is cut at the head, followed toward the foot end by a “clean-sound hole” (cheonggong) and six finger holes. There are additional holes rendered at the lowest end (chilseonggong) to allow a delicate adjustment of pitch. These chilseonggong are not used as part of playing.
While playing it, a large transverse flute is set on the left shoulder by the mouthpiece; the first three finger holes after the embouchure hole are manipulated with the left hand, and the other three by the right. By controlling the six finger holes, a large transverse flute can produce about 19 different notes across three octaves. Any given finger hole can create varying notes according to the volume and velocity of air.
The unique charm of the large transverse flute is based on the vibration from the “clean-sound” hole. This hole is shielded with a common reed’s inner membrane and, to protect the membrane from damage, is covered by ornamental metal. The vibration of this membrane creates the distinctive timbre of a large transverse flute. 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it conceals the membrane, it adds to the diversity of the tones created. Presenting varied tone colors and a wide musical range, the daegeum is employed not only for traditional music, but for creative musical experimentation as well.
While their precise date of invention is unknown, large transverse flutes were clearly in use from as early as the fourth–fifth centuries. Murals and Buddhist pagodas dating from this period feature painted or inscribed representations of this instrument. It is notable that the flutes in these archaeological remnants are being played by heavenly beings rather than humans, indicating that at an early stage the daegeum was perceived as a sacred instrument with religious implications.
Shrill Timbre Awakening World Peace: Taepyeongso
The name Taepyeongso means “a great peace pipe,” and delivers wishes for social order and an abundant harvest. This double-reed oboe has mainly been adopted for farmers’ music and military music at the court. Producing the greatest musical volume among Korean wind instruments, the taepyeongso is renowned for its distinctive piercing sound that expresses authority and effectively lifts people’s spirits.
The copper mouthpiece (donggu) of a taepyeongso features a double reed that was, originally crafted from a common reed, but is increasingly nowadays made from plastic. The body below the mouthpiece is mainly constructed out of wood from the jujube tree for its hardness. Eight finger holes are rendered on the wooden body, one of which is made on the back across from the first hole from the mouthpiece. A conical bell (dongpallang) is attached at the lower end to amplify the sound. This bell, a determinant of the timbre and volume of the music, is usually made of brass or copper.
Its origins can be traced to musical instruments from Southwest Asia known as shanai or surna. They were first introduced to China and then dissemi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3th century (during the later Goryeo period) when Korea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Mongols who occupied China at the time. The flamboyant foreign sound of the double-reed oboe immediately captivated the people of Goryeo, and long into the Joseon era the instrument continued to be widely featured both in court and folk music. It still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oday’s traditional Korean music.
Possessing a remarkable musical volume, the double-reed oboe has always been adopted for open-air music. When featured at the court for a military march or for farming activities and Buddhist rituals, the double-reed oboe plays a critical role in expressing the dignity of the event and the bold spirit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tone color of the double-reed oboe beautifully mingles with the sound of today’s electronic instruments; it is even frequently used in popular music such as rock or hip-hop.
A Harmony of Differences in Korean Monophonic Music
The taepyeongso is known for raucous, triumphant sounds.
Outside the two instruments creating sounds using vibrating air, the similarities between daegeum and taepyeongso do not go much farther. They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in the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large transverse flute pertains to court music, which was transmitt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starting in the first century B.C. all the way to the Joseon Dynasty. It is considered an instrument for native Korean music, or hyangak. In contrast, the double-reed oboe was imported from China. While the large transverse flute provides quintessentially Korean musical tones, the double-reed oboe adds exotic sounds to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diversifies its tone colors.
The differences extend to the way they are held, the materials used, and their method of producing sounds. The long transverse flute is held horizontally, but the relatively shorter double-reed oboe remains vertical. While the former is made from bamboo, the latter is fashioned from the durable jujube tree. The embouchure differs as well. A player blows directly into a hole rendered on a daegeum to produce sound, while a taepyeongso is played by blowing through a double reed in the mouthpiece of the instrument. This leads to a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of their sounds. The sound of a daegeum, drawn directly from the breath of its player, is warm and soft, while that of a taepyeongso, produced via a double reed, is cold and wild.
The tone colors of the two wind instruments contrast as well. In a daegeum, the deep, clean sound of bamboo is compounded by the tremble of a vibrating membrane to create a dignified but gentle sound. Meanwhile, the raucous tones from the double reed and the wooden body of the taepyeongso are amplified through the conical bell to produce a strong and triumphant feeling. The distinction in timbre has respectively established the long transverse flute and the double reed oboe as the instrument of choice for gentle and dignified music for the aristocracy and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dynamic music for military parades.
This sharp distinction in timbre alludes to the characteristic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ese time-honored instruments are crafted and played in a way that best respects the sounds of their raw materials and therefore best resembles the sounds of nature. Since traditional Korean music is fundamentally monophonic, the unique sounds from different instruments follow along the same melody. It is as if various colors came together to create a beautiful rainbow. This musical harmony generated out of the widely divergent sounds of unique instruments defines traditional Korean music.
Text by Mun Bong-seok, National Gugak Center
Photos by National Gugak Center
자연을 담은 소리 대금과 태평소
한국의 악기는 곧 자연이다. 자연에서 재료를 취하고, 그것이 가진 본연의 소리를 왜곡하지 않는 악기를 만든다. 나무에 입김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관악기는 특히 숲과 바람이 만들어내는 소리와도 닮았다. 그중 대금은 부드럽고 온화한 소리로 곡에 온기를 채우고, 태평소는 경쾌하고 씩씩한 소리로 힘을 돋운다. 서로 다른 듯 어우러지는 것이 자연의 그것과 꼭 닮았다.
자연의 소리를 담은 한국 전통 악기
“음악은 하늘에서 나와 사람에게 깃든 것이며, 빈 곳에서 생겨나 자연에서 완성된다. 이로써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피를 돌게 하고, 맥박을 뛰게 하며, 정신을 깨어있게 한다.” 조선 시대의 음악 문화 전반을 집대성한 <악학궤범>(1493)의 첫 장에 쓰여 있는 말이다. 자연의 자료를 사용해 만드는 악기야말로 음악을 담는 온전한 그릇이 된다. 이는 한국의 전통 악기가 그 형태를 오랫동안 변함없이 유지해올 수 있던 근원이기도 하다.
현재 존재하는 한국의 전통 악기는 100여 종에 달한다. 이 중에는 한국에서 만들어진 악기, 다른 나라로부터 들어온 악기, 본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졌지만 한국에 들어와 개량된 악기 등이 있다.
악기는 서양 분류법을 기준으로 연주 방법에 따라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관악기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 소리를 내는 악기로, 연주방법 및 리드의 사용 여부에 따라 보다 세분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표적인 악기 몇 종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듯 닮은 한국과 서양의 관악기
한국의 관악기는 악기를 가로로 놓고 부는 방식과 세로로 놓고 부는 방식의 악기가 있다. 전통적으로 가로로 부는 악기를 종적(縱笛)이라 부르고, 세로로 부는 악기는 횡적(橫笛)이라 불렀다. 가로와 세로의 연주 방법이 악기 이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는데, 한국 관악기의 명칭에 가는 대로 만든 목관 악기라는 뜻의 소(簫)가 포함되었으면 주로 세로로 부는 악기이고, 피리라는 뜻의 적(笛)이 붙어 있으면 가로로 부는 악기인 경우가 많다.
한국 관악기의 재료는 전통적인 8가지 악기 재료인 팔음(八音, 쇠(金)·돌(石)·실(絲)·대나무(竹)·바가지(匏)·흙(土)·가죽(革)·나무(木)) 중에서 돌, 실, 가죽을 제외한 대나무, 나무, 바가지, 흙, 쇠 등이 악기 재료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대나무이다. 특히 대금, 소금, 당적과 같이 가로로 부는 악기들은 오직 대나무만을 사용해 만든다.
한국 관악기의 소리 내는 원리는 서양의 관악기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트럼펫 등의 금관악기는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데 한국의 나발 연주법도 동일하다. 클라리넷이나 오보에와 같은 목관악기는 나무나 금속 등으로 만든 엷은 조각으로, 악기에 부착시켜 소리 내는 데 사용되는 리드로 연주한다. 한국 관악기 중 리드의 역할을 하는 ‘서(舌)’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악기는 피리와 태평소이다. 플롯이나 리코더 등의 목관악기는 특정한 구멍인 취구에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낸다. 한국 목관악기 중에서는 대금이 이와 같은 원리로 소리를 낸다.
한국의 관악기는 오랜 시간 동안 그 형태를 유지해왔고, 이를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다. 이러한 특수성과 함께 일부 목관악기와 금관악기의 구조가 서양악기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보편성도 갖는다. 비록 두 문화권이 여러 측면에서 독자적인 음악문화를 발전시켜왔지만, 리드와 취구를 통해 최적의 소리를 얻는 방식은 공유했던 것이다.
대나무로 빚은 천상의 소리, 대금
대금은 궁중음악과 선비음악에 사용되는 정악대금과 민속음악에 사용되는 산조대금 두 종류가 있다. 산조대금은 정악대금에 비해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으며, 19세기 이후 산조라는 수준 높은 기악독주곡의 연주를 위해 만들어졌다. 길이가 짧고 음역이 한음 정도 높다.
대금은 살이 두텁고 단단한 대나무를 사용해 만들어진다. 정악대금을 기준으로 길이는 78cm 정도이고, 한국 전통 관악기 중에서 가장 길다. 대금의 맨 위쪽에는 입김을 불어 넣는 취구가 있고, 그 아래에 개성적인 음색을 내게 하는 청공 1개가 있으며, 그다음에 이어서 손가락으로 막고 떼며 연주하는 지공 6개가 있다. 맨 끝에는 대금의 전체적인 음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멍들인 칠성공이 있다. 칠성공은 연주 시에 사용하지 않는다.
가로로 불어 소리를 내는 대금은 취구 부분을 왼쪽 어깨에 올리고, 취구와 가까운 위쪽의 지공 3개는 왼손으로, 아래쪽 지공 3개는 오른손으로 연주한다. 대금은 6개의 구멍을 이용하지만, 3옥타브(B♭3 ~ f6) 내에서 19개 정도의 음을 낸다. 같은 지공이더라도, 입김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여 음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금의 가장 큰 매력은 취구와 지공 사이에 있는 청공이 만들어내는 울림에 있다. 청공에는 청(淸)이라고 불리는 갈대 줄기 안쪽에서 벗겨낸 얇은 막을 붙이고, 이것의 파손을 막기 위해 멋스러운 금속 가리개를 씌운다. 바로 이 청의 떨림을 통해 대금은 더 깊은 음색을 가진 악기가 된다. 또한 연주 시에 청 가리개로 청의 울림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음색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음색과 넓은 음역을 가진 대금은 한국 전통음악의 색채를 분명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새로운 창작 음악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금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확실치는 않지만, 4~5세기경부터 이 땅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해당하는 고구려의 고분벽화와 백제의 불교 사찰에 세워진 탑 등에서 대금을 연주하는 그림과 조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고고학 자료에 등장하는 대금이 주로 인간이 아닌 천상의 존재들에 의해 연주된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로부터 대금이 등장했던 초기에는 종교적인 신성성을 갖는 신비로운 악기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상을 깨워 평화를 부르는 소리, 태평소
태평소라는 이름은 세상에 전쟁과 다툼이 없고, 농사가 잘되어 크게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주로 민간의 농악과 궁중에서 행해진 군대음악 등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의 관악기 중 가장 큰 음량을 가졌으며, 기타 한국 관악기와 다른 음색으로 위엄과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했다.
태평소의 입김을 불어 넣는 구리로 만든 깔때기인 동구(銅口)에 서(舌)를 꽂는다. 서는 본래 갈대를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주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한다. 동구 아래로 관대가 연결되는데, 관대는 주로 단단한 대추나무를 사용한다. 관대에는 총 8개의 지공이 있는데, 그중 맨 위의 지공은 리코더처럼 뒷면에 뚫려 있다. 맨 아래에는 음량을 확대하기 위한 원추형 동팔랑이 끼워져 있다. 동팔랑은 음색과 음량을 결정짓는 것으로, 주로 놋쇠나 구리로 만든다.
본래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샤나이·주르나로 불리던 악기가 중국으로 전해졌고, 중국 대륙을 점령한 몽골이 세력을 넓혀 고려(935-1392)를 지배하면서 국내에 태평소가 소개되었다. 태평소의 이질적인 음색은 당시 사람들을 크게 매료시켰고, 이후 조선왕조에서도 태평소는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에서 두루 애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태평소는 음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에서 처음 사용될 때부터 지금까지 주로 야외 음악에서 사용되어왔다. 과거 궁중에서 행해진 군대의 행진음악을 비롯하여, 이에 영향을 받은 민간의 농악이나 불교의 의식음악에서도 태평소는 위엄과 기상을 표현하는 악기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태평소의 단단하고 거친 음색은 오늘날의 전자 음향과도 잘 어울려서, 태평소는 록이나 힙합 등의 대중음악에서도 종종 사용된다.
하나의 선율, 서로 다른 음색이 이루는 조화
숨을 불어 넣어 공기에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의 속성을 제외하면, 대금과 태평소는 거의 모든 면에서 다르다. 먼저 두 악기는 계통이 다르다. 대금은 삼국시대 이후 조선 시대까지 사용되던 궁중음악의 한 갈래이며, 토착음악이자 민속음악인 속악(俗樂)으로도 불리는 향악(鄕樂) 악기에 속한다. 반면에 태평소는 중국 당나라로부터 들어온 당악(唐樂) 악기이다. 대금이 가장 한국적인 음색으로 전통음악의 색채를 강화해왔다면, 태평소는 이국적인 음색으로 한국 전통 음악의 색채를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두 악기는 연주방법, 재료, 소리를 내는 원리도 다르다. 대금은 길이가 길어서 가로로 불어 연주하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태평소는 세로로 불어 연주한다. 그리고 대금은 대나무로 만들지만, 태평소는 더 단단한 대추나무를 사용한다. 취구도 다르다. 대금은 동그랗게 파인 취구에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지만, 태평소는 서를 꽂아 입으로 물고 숨을 불어 넣는다. 이 때문에 소리의 온도가 다른데, 대금의 소리가 부드럽고 따뜻한 반면, 태평소는 거칠고 차갑다.
음색도 대비된다. 대금은 맑고 깊은 대나무 본연의 음색에 청의 울림을 더함으로써 더 그윽한 소리를 낸다. 이에 비해 태평소는 서와 나무 관대를 거친 소리가 동팔랑을 통해 증폭됨으로써 단단하고 씩씩한 음색을 갖는다. 이러한 음색 차이로 인해 대금은 궁중음악이나 선비음악과 같이 정적인 음악과 어울렸고, 이에 비해 태평소는 군대의 행진음악과 같이 역동적인 음악에 활용되었다.
대금과 태평소의 다름은 곧 한국 음악의 미적 특징과도 연결된다. 한국 음악은 자연의 모든 소리를 담고자 했기에, 악기의 재료가 갖는 본연의 음색을 강조했다. 그리고 단선율 음악에서는 악기의 고유한 음색이 중요한 감상 요소가 된다. 한국의 전통음악은 화성을 기초로 하는 서양음악과 달리 합주 시에 모든 악기가 하나의 선율만을 연주한다. 하나의 선율에 여러 악기의 개성 있는 음색이 모여 조화를 이룸으로써 음악적 감동을 선사하는 것이다. 이는 흡사 여러 색깔이 모여 아름다운 호를 그리는 무지개를 연상케 한다.
Text by 문봉석 |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Photos by 국립국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