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
Hwarot, a Once-in-a-lifetime Luxury
By Kwon Hea-jin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was generally forbidden for people of the common class to wear any clothing adorned with lavish decoration. However, they were allowed this luxury once in their lifetime—on their wedding day. All brides and grooms were permitted to wear luxurious ceremonial garments normally reserved for members of the royal court. One classic example is the hwarot, a bridal robe decorated extensively with embroidery, that highlights the beauty of a newlywed woman on this most festive occasion.
A Wedding Garment for All
Founded upon Neo-Confucian philosophy, the Joseon Dynasty firmly upheld such Confucian values as integrity and austerity, including by banning the wearing of ostentatious clothing by adult commoners. Embroidery, which demands a great deal of labor and expense, was particularly prohibited for the proclaimed purpose of ensuring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security. Regulations on embroidered clothing were strict to the extent that if a female commoner were to wear embroidery, her male master—either her father or husband—would be subject to punishment.
Even with these draconian regulations on luxurious clothing, the hwarot, a lavishly embroidered woman’s garment, was allowed to the common class since it was exclusively for weddings. The practice of reserving beautiful clothing for a bride is a timeless worldwide practice, and Joseon was no exception. Embellishing her clothing with embroidered patterns was allowed to a commoner woman just this once on this most festive day of her life. Embroidery, rather than other ornamentation methods such as, for example, gold-sheet decoration, was adopted for wedding clothing since it was a widespread skill among commoners at the time.
Therefore, the lavishly decorated hwarot wedding robes were not set aside as an exclusive item for royalty, but became a shared luxury for all classes. Today they deliver the quintessential beauty and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Embroidered Symbolism
A hwarot created based on the drawings of Princess Deogon’s wedding robe, Photo courtesy of Kwon Hea-jin
The embroidery,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a hwarot, is loc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posture of a bride as she spends the wedding with her head lowered and hands folded at the chest. For this reason, the decoration is concentrated in the back rather than the front, which is frequently covered by the sleeves. The exposed parts of the front, such as the shoulders and the lower part of the trunk, feature decoration, and the white cuffs would be extensively embroidered.
A customary set of motifs is embroidered on each particular section of a hwarot. The front shoulders are embroidered with a boy attendant holding a lotus flower alongside Chinese characters for good luck.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cuff show a nine-phoenix design, which symbolizes a happy family. The body of the back and the sleeves are embroidered with peonies above and lotuses below. Over the peonies in the back is a peach design symbolizing longevity. Small birds and butterflies fly among the peony blossoms.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in the back are semi-circular waves under lotus flowers, flanked on each side by a white heron to represent conjugal bliss.
These motifs embroidered on a hwarot all present wishes for happiness and good luck for the newlywed couple. Their particular symbolism is detailed further below.
Drawing of Princess Deogon’s wedding robe hous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Phoenix
Normally considered a representation of a female member of the royal family, when rendered as a male and female pair on a hwarot the phoenix represents a happy couple. In particular, a pair of phoenixes with their children means fertility and happiness for the newlyweds.
Chinese characters
The front of the shoulders and the back of a hwarot are embroidered with Chinese characters symbolizing longevity, prosperity, and good fortune for the new couple.
Boy attendant
Along with the Chinese characters, the front of the shoulders is decorated with a design of a boy attendant. As a bride was given the responsibility for generating a male heir for the family she married into, boy attendants were embroidered on her wedding robe as a symbol of fertility. When rendered alongside lotus flowers, the symbolism of boy attendant is intensified to mean a continuous production of baby boys.
Peach
A peach design is embroidered in the center of the back in the form of a potted peach tree. This serves to drive off evil spirits and encourage longevity for the couple.
Peony and butterflies
Denoting harmony in the contrary forces of yin and yang, the peony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motif for wedding dress. The front side of a hwarot has peony patterns together with phoenixes, and the back features a splendid design of peonies in the center. Birds and butterflies flitting across the peony blossoms in pairs symbolize love and happiness for the bride and groom.
Lotus and white heron
A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prosperity and vitality, a lotus design is set underneath the peony patterns. The lotus flowers have below them a pair of white herons and rainbow-shaped waves. The white herons playing in the lotus pond are believed to denote harmony and love in the couple’s married life.
Surviving Examples of Royal Hwarot
Examples of hwarot from the Joseon era can be found both inside Korea and a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Germany, and other parts of Europe. The hwarot currently held at overseas museums were transferred out of the country by foreign collectors who arrived in Joseon during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 to the West in the 1920s. They were immediately drawn to the stunning beauty of hwarot and brought pieces home to their countries.
Among those remaining in Korea are two royal hwarot—one created in 1830 for Princess Bogon (1818–32) and another, called the Changdeokgung hwarot, with its date of production and wearer unknown. The two royal hwarot demonstrate distinct differences in terms of decoration. In addition to these two, there remain drawings of the wedding robe for Princess Deogon (1822–44), Bogon’s younger sister.
A replica of the Changdeokgung hwarot hous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Princess Bogon’s wedding robe
Princess Bogon was the second daughter of the 23rd monarch of Joseon, King Sunjo. The bridal gown worn by Princess Bogon on her wedding in 1830 is the only royal hwarot surviving to the present that comes with exact information on its production date and wearer. In addition to embroidery, this wedding robe displays gold-leaf decoration. Medallions featuring a pair of mandarin ducks are rendered in gold leaf, and lines dividing the space into several decorative sections are also indicated in gold. Inside the gold-delineated sections are a wide range of embroidered flowers and fruits, such as peony, lotus, plum, peach, and pomegranate. Among them is set an irregular arrangement of embroidered butterflies and treasures. Overall, Bogon’s wedding robe exhibits a strong decorative aesthetic.
Drawings of Princess Deogon’s wedding robe
Drawings of a royal hwarot hel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guably depict the one produced for the wedding of Bogon’s younger sister, Princess Deogon, in 1837. The drawings relate the same decorative motifs as in Bogon’s wedding gown, such as sectional lines, flowers, and treasures. They also feature a phoenix design. Produced by court painters, drawings of a royal hwarot not only provided guidance for embroidering decorative patterns, but also determined the overall design of the gown. Although surviving only in pieces and therefore not presenting the full costume, the two fragments of the drawings of Deogon’s wedding robe are sufficient evidence to indicate its decorative delicacy and elegant silhouette.
Changdeokgung hwarot
The royal wedding robe maintained at Changdeokgung Palace, known as the Changdeokgung hwarot, exhibits a distinct decoration scheme compared to Princess Bogon’s robe: its ornamental motifs are larger, more diverse, and, most importantly, stronger in terms of their symbolism. A diverse range of motifs carrying a great weight of symbolism is blended together in the Changdeokgung hwarot to create a painterly scene.
In terms of decorative style, most of the surviving hwarot for commoners followed closer to the Changdeokgung version rather than Princess Bogon’s wedding robe. It is inferred that people preferred symbolism over decoration when they produced wedding costumes. The hwarot was a once-in-a-lifetime luxury that allowed commoner-class women to accentuate their beauty on the most important day of their life. More importantly, however, it served as a vehicle for delivering lifelong wishes for happiness and prosperity during their married lives.
Text by Kwon Hea-jin _Ewha Womans University
Photos by Kwon Hea-jin, Min Hee-gi, the National Palace Museu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옷, 평생 단 한 번 허락되는 화려함
평소 화려한 옷을 입을 수 없던 조선시대 평민에게도 혼례 날만큼은 왕자와 왕자비의 혼례복을 입는 일이 허락되었다. 그날만큼은 평민도 왕자와 공주가 되는 것이다. 축복된 날, 여인의 아름다움을 더욱 극대화해준 옷, 붉은 바탕에 아름다운 무늬를 가득 수놓은 ‘활옷’이다.
궁중과 민간을 아우르는 혼례복
활옷은 본래 왕실 여인들의 혼례복이었다. 청렴함과 검소함을 숭상하는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했던 조선시대에는 어린이 복식을 제외한 일반 성인의 복식에 화려한 무늬와 장식이 허락되지 않았다. 특히 비용과 수고가 많이 들어가는 화려한 자수복식은 사회질서의 안정과 국가 경제의 보호를 위한 사치 금지령의 첫 번째 대상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법령으로 평민 여성이 수놓은 옷을 입을 경우 가장 즉, 아버지나 남편을 같이 처벌하는 것으로 정해놓았을 만큼 자수 복식의 착용이 엄격히 금지되었다.
이러한 엄격한 금제 속에서도 복식 전체를 자수로 장식한 활옷이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는 활옷이 혼례복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대와 지역을 불문하고 신부의 혼례복으로는 그 문화권에서 가장 아름다운 복식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혼례라는 일생의 단 한번 뿐인 경사스런 날에 한해서 일반 여성의 복식에도 아름다운 자수로 장식하는 것이 허락되었던 것이다. 금박과 같은 특수한 장식기법은 재료와 기술을 민간에서 따라 하기 어려웠지만 자수는 당시 여성이라면 모두 놓을 수 있었기에 충분히 실현 가능했다.
따라서 조선시대 자수복식이자 혼례복인 활옷은 특권 계층에 국한된 복식이 아닌 궁중과 민간을 아우르는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복식이라 할 수 있다.
활옷 자수무늬와 상징성
활옷은 치마와 저고리 등 기본복식 위에 덧입는 옷으로, 홍색 겉감에 청색 안감을 대어 만들어 혼인을 통한 음양의 조화를 상징한다. 큰 소매에는 빨강, 파랑과 노랑 등의 색동 장식을 하고 예복의 상징인 흰색 한삼을 덧댄다.
활옷의 가장 큰 특징인 자수는 혼례 시 두 손을 가슴 위에 모으고 고개를 숙이고 서있는 신부의 자세를 고려해 수놓아져 있다. 따라서 소매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앞면보다는 뒷면에 수가 집중되어 있고, 앞면은 겉으로 드러나는 어깨와 몸판의 아랫자락에만 수를 놓는다. 소매 끝 흰색 한삼부분에도 수를 놓아 장식한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활옷의 앞면 어깨부분에는 연꽃을 든 동자상과 함께 남녀의 혼인과 온갖 복의 근원을 기원하는 문자를 수놓았다. 활옷의 앞면 아래 자락 부분과 소매 한삼 뒷부분에는 화목한 가정을 상징하는 구봉무늬를, 활옷의 뒷면과 소매부분 위에는 모란꽃을, 아래에는 연꽃을 새겨 넣는다. 모란꽃 위의 중심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복숭아를 수놓고, 모란꽃 가장자리와 사이사이에는 문자나 작은 새와 나비 등을 수놓는다. 뒷면 아래쪽 연꽃 밑으로는 산을 중심으로 한 반원형의 물결무늬를 수놓고 연꽃이 피어오르는 양쪽 가장자리에 백로 한 쌍을 수놓아 금슬 좋은 부부가 될 것을 기원한다.
이렇게 일생 한 번의 혼례를 위한 활옷에 놓는 자수의 소재들은 모두 행복을 기원하는 상징을 가지고 있다.
봉황
봉황은 왕실 여성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활옷에서의 봉황무늬는 원앙과 마찬가지로 수컷인 봉과 암컷인 황 한 쌍을 통해 금슬 좋은 부부를 상징한다. 특히 여러 마리 새끼를 거느린 봉황 한 쌍을 표현한 무늬는 다산의 기원과 다복한 가정을 상징한다.
문자
활옷의 앞면 어깨 부분과 뒷면 등 부분에는 신랑, 신부 양가가 하나가 되는 혼인에 복이 넘쳐나길 기원하는 마음과 장수와 부귀를 기원하는 문자 무늬를 수놓는다.
동자
활옷의 앞면 양 쪽 어깨 부분에는 문자 무늬와 함께 작은 동자 무늬를 수놓는다. 조선시대 혼례는 가문의 대를 잇는 중요한 통과의례이며 신부는 아들을 낳을 의무가 주어지기 때문에 이를 상징하는 동자 무늬를 수놓아 다산을 기원하는 것이다. 특히 동자 무늬는 연꽃과 함께 수놓는데 이는 연이어 아들을 낳으라는 다산의 기원을 상징한다.
복숭아
장수와 벽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복숭아 무늬는 화분에 심어져 있는 형태로 활옷의 뒷면 맨 위 중앙에 위치한다.
모란, 나비
모란은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꽃으로, 혼례복에 가장 적합한 꽃 모티브이다. 모란 무늬는 활옷 전면에 봉황과 함께 배치하고 후면에서는 활옷의 뒤 중심부를 화려하게 장식한다. 모란 무늬 사이에 날아드는 한 쌍의 새와 나비는 남녀의 사랑과 행복을 상징한다.
연꽃, 백로
전통 꽃무늬 중 풍요로움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연꽃은 모란 아래에 자리한다. 연꽃 아래에는 한 쌍의 백로와 색동무지개 모양의 물결 무늬를 수놓는다. 연꽃이 핀 연못에서 노니는 백로 한 쌍은 부부의 화목과 사랑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존하는 궁중 활옷 유물
활옷 유물은 국내 뿐 아니라 미국을 비롯해 영국, 네덜란드, 독일 등 유럽국가 박물관에 각기 흩어져 소장되어있다. 조선이 서구에 문호를 개방했던 1920년대 초기, 화려한 자수복식이자 혼례복인 활옷의 아름다움을 알아본 해외 컬랙터들이 수집해 갔기 때문이다.
현재 전해지는 궁중 활옷 유물은 복온공주 활옷과 착장자와 제작연도를 알 수 없는 활옷이 있다. 이 두 활옷은 자수무늬의 구성과 조형적 특징에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복온공주 활옷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純祖)의 둘째 딸인 복온공주(1818∼1832)가 1830년에 공조참판 김연근의 외아들 김병주와 혼인할 때 착용했던 복온공주 활옷 유물은 현재 전해지는 활옷 유물 중 유일하게 착용자와 제작연도가 확실한 활옷 유물이다.
이 활옷은 자수 뿐 아니라 둥근 원형 안에 부부의 사랑을 상징하는 한 쌍의 원앙을 배치한 금박 장식이 더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수무늬 또한 금사를 사용해 구획을 나누고 그 사이에 모란, 연꽃, 매화, 복숭아, 석류, 불수감 등의 다양한 꽃과 과일무늬를 나란히 수놓았다. 그 사이사이 나비와 작은 보물무늬를 규칙적으로 배치한 장식성이 돋보인다.
덕온공주 활옷 수본
국립고궁박물관에는 복온공주의 동생인 덕온공주의 혼례(1837년)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궁중활옷 수본이 소장되어 있다. 복온공주 활옷무늬와 같이 경계선과 꽃무늬와 보물무늬 등으로 이루어진 도안과 함께 복온공주 활옷에서는 볼 수 없는 봉황무늬가 추가되었다. 궁중 화가가 밑그림을 그린 활옷 수본은 자수도안 뿐 아니라 복식의 패턴 역할을 한다. 덕온공주 활옷 수본은 안타깝게도 2점만 남아 있어 전체 활옷의 구성을 알 수 없지만 이를 통해 섬세한 활옷의 도안과 아름다운 활옷의 실루엣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창덕궁 활옷
창덕궁 활옷은 복온공주 활옷에 비해 자수무늬의 모티브가 더 크고 더 다양한 종류의 무늬로 구성되어있다. 강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무늬들은 서로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회화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대부분의 활옷은 창덕궁에 보관되어 있던 궁중 활옷의 유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장식성이 강한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무늬보다는 혼례와 관련된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한 창덕궁 활옷의 자수무늬를 더 선호했던 결과로 볼 수 있다. 활옷은 신부를 누구보다 아름답고 돋보이게 꾸며주는 옷이기도 하지만 신부의 새로운 삶에 축복을 기원하는 부적과도 같은 소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Text by 권혜진 _이화여자대학교
Photos by 권혜진, 민희기, 국립고궁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