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ature

The Gwageo, the Primary Mission of Joseon Scholars

By Cha Mi-hee

there are still words in the everyday Korean lexicon that trace their root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known as gwageo. The person who took first place in a civil service examination received the title jangwon, literally “the prime.” The terms geupje and nakbang respectively referred to passing and failing these examinations. Civil service examinations were also called deungyongmun, literally “dragon gate,” a reference to a mythological gate that a carp could leap over and become a dragon. All these words associated with the institution of gwageo maintain a strong expressive power in contemporary Korean when used in any context related to an important test.



The Pathway to Leadership

The Confucian society of Joseon-era Korea was controlled by civil officials. They held leadership positions in the political field, and in the cultural and economic sectors as well. The gwageo was used to select future members of this power elite. Its position in Joseon society as a vehicle for accomplishing personal goals and fulling social duties is unparalleled by any of the contemporary school or employment examinations in South Korea, or even by all of them combined.

Given the prestige ascribed to success at the gwageo, it required great ability in a range of field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andidate had to be well versed in the Confucian classics. He was also required to prove his capacity for writing literature and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practical issues. Mastering this list of needed abilities demanded long years of unswerving dedication. It follows that those who were born into a social environment free from the obligation of labor gained a much better chance with the gwageo examinations. This was why only members of the yangban, the highest social class of Joseon outside the royalty, who applied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even though commoners were also legally eligible to take the tests.

For members of the yangban class,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was the ultimate purpose of their lives. Most of them dedicated themselves to preparing for the gwageo examinations and took everyopportunity to take them. When a scheduled examination drew nearer, the entire nation bustled with candidates on their way to the capital Hanyang (now Seoul) to sit the exams. Earnestly wishing them good luck, friends and family would treat them with special foods or raise their spirits with auspicious gifts.

Candidates could sit the gwageo examinations regardless of age, level of education, or number of previous applications, but only a limited number of people could pass each examination and the competition was cut-throat. The proportion of successful candidates could reach as low as one in several thousand, and candidates who had been preparing for well over ten years could still easily fail. However, the harder it got to “leap over the dragon gate,” the stronger the social belief become that passing the gwageo was the greatest success any Confucian gentleman could achieve.

Personal Glory and Family Pride

The importance to yangban familie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is demonstrated by a late-Joseon collection of stories on Confucian figures called Gimun chonghwa. One of the episodes related to the gwageo examinations is presented here.



Saengwon Yi Deok-jung (1702–1748), a resident of Hanyang, had passed the saengwon examination three years before in 1727 and had just one day befor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saengwon title Yi Deok-jung held was one of the two titles awarded by the nation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eonggyungwan to those who passed its entrance examination. The other was jinsa. The saengwonand jinsa examinations respectively tested potentia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ir literary abilities. After some education at Seonggyungwan, these saengwon and jinsa holders advanced to tak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Yi Deok-jung had not accomplished this final goal for three years after successfu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step in joining the Joseon power elite and was looking forward trying again the next day.

The issue was that Yi’s family was very poor. His wife had to borrow rice from a neighbor to feed him the next morning. She carefully placed the rice in a wooden bowl so as not to lose a single grain. The amount of rice was too small to fill the bowl. Relieved that she would be able to offer her husband a proper breakfast, she went to sleep. A few hours later, she awoke from a dream that every grain of the borrowed rice had turned into a small dragon and filled the wooden container to the brim. Thinking that the dream was auspicious, she hurried into the kitchen and cooked the rice for her husband.

Just then there was a knock on their household gate. It was Yi Tae-jung (1694–1756), Deok-jung’s elder third cousin who lived in the Gyeolseong area of Chungcheong-do Province. Tae-jung had passed the jinsa examination in 1717 and had been tak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for 13 years. Living outside the capital, Tae-jung had to travel all the way up to Hanyang for the examinations. This year as before he had walked for four full days and finally arrived at Deok-jung’s house on the morning of the examination. He looked visibly worn out from the days of walking and had developed blisters on his feet.



After receiving Tae-jung into his study, Deok-jung asked his wife how much rice was available. She confessed that there was only one portion. Deok-jung asked his wife to bring the breakfast to his study, intending to share it with Tae-jung. Upon this request, his wife urged Deok-jung not to share the rice with Tae-jung. Asked why, she revealed her auspicious dream from early that morning. Her explanation was met with a stinging admonition from her husband. Deok-jung rebuked his wife, saying that it was unthinkable to fill his own stomach while Tae-jung was hungry. He told her, “If I let my brother go hungry for the sake of my success, the heavenly god would never be on my side in the examination.”

Deok-jung’s wife had no choice but to prepare a breakfast table and bring it to the study. She peeped through the window at the two sharing the preciousbowl of rice. She must have felt broken-hearted. It is not that she did not understand that it was the humane and moral thing to share whatever food that was available with kin. However, she struggled with it that particular morning because to her it was not just rice in the bowl, but small dragons.

After sharing the breakfast, Deok-jung and Tae-jung entered the examination site and they both ended up passing. In that year, 1730, 20 people passed the exam. Deok-jung ranked 12th and his cousin Tae-jung came in 18th. Entering officialdom, they assumed a series of important posts and enjoyed great success.

t is not certain from this story whether Deok-jung’s wife was reassured by her husband doing better than his cousin. What is clear is her earnest wish for Deok-jung’s success in the examination. The resolute refusal of her somewhat selfish request by Deok-jung demonstrates that the Confucian teachings he studied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did not stop at the theoretical level, but had been transformed into actual behaviors in his everyday life.

As this anecdote shows, Joseon-era scholars regarded passing the gwageo examinations as their greatest mission in life and the highest glory they could achieve. Their aspirations were always shared and fully supported by their families.







과거시험, 출세를 향한 먼 여정

한국인에게는 친숙한 전통사회 용어 가운데 장원, 급제, 낙방, 등용문 등은 조선 시대 과거시험과 관련된 용어이다. 장원은 과거시험에서 1등으로 합격하는 것을 말하고, 급제와 낙방은 합격과 불합격을 일컬으며, 등용문은 매우 어려운 시험에 합격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에도 대학 입시와 취직 시험의 굴레 속에서, 대학 입시에 떨어진 경우 좌절하며 “낙방했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공무원 시험 준비를 돕는 학원의 이름 앞에는 ‘등용문’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조선의 파워엘리트가 되기 위한 시스템 ‘과거시험’

성리학의 나라,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이끈 파워엘리트는 문반 관리들이었다. 문반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시험의 위상은 오늘날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의 각종 국가고시, 로스쿨전문대학원의 입학 시험, 대기업과 주요 언론 기관 등의 각종 입사 시험들을 모두 합해 놓은 것보다도 높았다.

조선의 파워엘리트를 선발하는 과거시험이었던 만큼 응시생은 급제를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이 많았다. 사서삼경을 비롯한 경학에 능통해야 했으며, 문학적 능력도 탁월해야 했고, 현실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 능력도 갖추어야 했다. 태어나 오로지 공부만 해도 이런 능력들을 갖추는 데는 긴 시일이 요구되었고, 경제력도 뒷받침되어야 했다. 이 때문에 조선에서는 법제적으로 노비를 제외한 양인 신분 전체에게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지만, 실제로는 양반만이 응시할 수 있었다.

양반들은 과거시험에 급제하는 것을 삶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아 평소에 착실히 준비하다가 과거시험에 열심히 응시하였다. 과거시험이 열릴 즈음이면 전국 곳곳은 길을 떠나는 응시생을 위한 모임으로 분주하였다. 친척들이 모두 함께 모여 “과거 길에서 무사하기를 바라고, 급제하기를 기대한다”라고 하면서 술과 음식을 나누고, 격려의 선물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모든 응시생들이 다 급제할 수는 없었다. 응시에는 나이, 학력, 응시 횟수 등의 제한이 없는데 반해 급제시키는 숫자는 정해졌기 때문이다. 경쟁이 어찌나 치열했던지 어떤 과거시험에서는 ‘수천 대 일’이라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에 이르기도 했으며, 10년을 공부해 응시해도 낙방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과거시험 급제가 어려워질수록 급제가 인간 세상에서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출세와 영광이라는 생각은 더욱 퍼져나갔다.

가문의 자랑, ‘급제’

이 같은 과거시험은 야담 모음집인 <기문총화(紀聞叢話)> 속에서도 잘 그려지고 있는데, 하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서울에 사는 생원 이덕중(李德重, 1702∼1748)은 영조 3년(1727)에 생원시에 합격한 뒤 3년 동안 부지런히 과거 공부를 하였고, 내일이면 과거시험인 정시(庭試)에 응시할 참이었다. 성균관에서는 입학 자격시험으로 생원시와 진사시를 시험 보였는데, 생원시에서는 경학에 대한 이해를, 진사시에서는 문학적 능력을 각각 시험 보여, 여기에서 합격하면 생원과 진사라는 학위를 부여하였다. 생원과 진사가 되었다는 것은 학문이 출중하여 곧이어 조선의 파위엘리트가 될 것임을 의미하였는데, 이덕중은 3년이 지나도 과거시험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이덕중이 내일이면 다시 급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덕중의 집안은 가난하여 그의 아내는 남편의 아침밥을 짓기 위해 이웃집에서 쌀을 꾸어와야 했으며, 꾸어온 쌀이 조금이라도 쏟아지랴 조심스럽게 나무 그릇에 잘 담아두었다. 남편의 아침밥을 지을 수 있다는 것에 안도한 아내는 스르르 잠이 들었는데, 새벽 즈음 꾸어온 쌀알들이 모두 작은 용(龍)으로 변해 그릇을 가득 채우는 꿈을 꾸었다. 평범한 꿈이 아니다 싶었던 아내는 후다닥 일어나 정성스럽게 남편을 위한 아침밥을 지었다.

마침 그때 이덕중의 집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소리의 주인공은 충청도 결성(結成)에 살고있는 진사 이태중(李台重, 1694∼1756년)으로, 이덕중의 8촌 형님이었다. 이태중은 숙종 43년(1717)에 진사시에 합격한 이후 13년 동안 계속 과거시험에 응시하고 있었으며, 이번에도 정시에 응시하기 위해 결성에서 올라온 것이다. 결성에서 서울까지는 4일이 걸리는 먼 거리로 이태중은 걸어서 올라오느라 발에 물집이 생기는 등 고생한 행색이 말이 아니었다.

남편 이덕중은 아내에게 아침밥이 얼마나 있느냐 물었고, 아내는 밥이 한 그릇밖에 없다고 사실대로 대답하였다. 그러자 이덕중은 밥상을 바깥채로 차려 보내라고 하였다. 남편은 형님 이태중과 밥을 나누어 먹은 뒤에 함께 과거시험에 응시하러 갈 생각이었다. 그러자 다급해진 아내가 말하였다. “이 밥은 절대로 나누어 드시면 안 됩니다.” 이덕중이 그 까닭을 물었고, 아내는 새벽녘에 꾼 꿈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자 남편의 책망이 돌아왔다. 어떻게 자기 혼자만 밥을 먹고, 형님을 굶길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이덕중은 “만약 형님을 굶기고 나 혼자만 급제하려 한다면, 천지신명도 반드시 나의 급제를 도와주지 않을 것이다”라고 아내에게 엄포까지 놓은 뒤, 바깥채로 돌아갔다.

이덕중의 아내는 어쩔 수 없이 아침밥을 차려 바깥채로 내보냈다. 그리고 창 틈으로 엿보니, 밥 한 그릇을 둘이 나누어 먹는 모습이 보였다. 아내의 마음은 아리고도 아렸을 것이다. 이덕중의 아내가 자기 시아주버니에게 밥을 나누어 주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모를 리 없었지만, 그 밥그릇에는 평범한 밥알이 아니라, 작은 용들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남편 이덕중은 형님 이태중과 아침밥을 사이 좋게 나누어 먹고 과거 시험장에 들어갔다. 그리고 두 사람은 영조 6년(1730)의 정시에서 나란히 급제하였다. 이 정시에서는 모두 20명을 급제시켰는데, 그 중에서 남편 이덕중은 12등을 하고, 형님 이태중은 18등을 하였으며, 모두 영조 대에 중요 관직을 두루두루 역임하면서 출세의 가도를 달렸다.


이 문학작품에서 이덕중의 아내가 과거시험에서 남편 이덕중이 형님 이태중 보다 급제 등수가 높았던 것에서 조금이라도 위안을 받았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남편의 급제를 바라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과 감정만큼은 너무나 잘 표현되어 있다. 또 이덕중이 아내의 요구를 단호히 물리친 것에는 과거 준비를 위해 해야 했던 경학 공부가 공부 자체로 그치지 않고, 친족과 가문을 중시하는 유교 도덕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조선 시대 사람들은 과거시험에 급제하는 것을 ‘인간 세상에서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출세와 영광’으로 여기며 급제를 통해 출세하고자 하는 응시생의 열망은 강렬했으며 이를 기원하는 가족, 친족, 가문의 기대와 희망도 뜨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