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ature

Riverside Pools at the Hangang

By Kim Youn-jeoung

The Hangang Railway Bridge in 1930 (Photo courtesy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Let’s turn back the clock in Korea about a century. How did people manage the scorching summer heat in those days? They might hide from the sun under the shade of eaves or a tree, create a personal breeze with a handheld fan, or try to reduce their body temperature by consuming icy water. When none of these was sufficient, they left their homes to seek out a fresh wind and cooling water. For people living in the capital of Korea at the time (today’s central Seoul) the closest place to beat the heat was the Hangang River. The river was as central to everyday life in the past as it is for modern Seoulites seeking to escape the summer heat.

People swimming in the Hangang River near the West Ice Storage (Photo courtesy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Gaining Popularity as a Recreational Place


For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taking refuge in water was an essential method for avoiding summer heat. Seoul is encircled by mountains on which a number of streams descend through shaded valleys. Immersing the feet or even the whole body in these mountain creeks was a popular summer scene at the time.

Besides mountain streams, the Hangang River running through Seoul was another source of recreational water for people in the city. Going out to the riverside was not considered a special occasion for people living in the capital of Korea, but rather a part of everyday life. Fishing and swimming in the Hangang River were reported in a newspaper article from 1913. This was years before the opening of a first pool at the Hangang riverside. It is not easy to find accounts of summer at the Hangang River among the records from before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since the unremarkable nature of the practice did not require any special notice.

The traditional summer practice of cooling down at the Hangang River became widespread in the 20th century with advancements in Seoul’s transportation system. Various swimming spots along the river became easily accessible by streetcar or train.

Another reason for the river emerging as a popular recreational destination in summer was the bridges built across it. The banks of the Hangang River were first connected by the Hangang Railway Bridge in 1910, and then by a bridge for cars and pedestrians (currently called the Hangang Bridge) immediately alongside it in 1917. These two feats of modern engineering were considered wonders by the Koreans of the time. The only types of a bridge they had ever seen crossing the Hangang were temporarily versions made by linking multiple wooden boats to allow royal processions across. The modern bridges were more than just a spectacle: They created shade underneath, and the hundreds of electric lights attracted people at night.

As streetcars expanded south from the city center, people could visit the Hangang River and return the same day. They could disembark at the final stop, Sin Yongsan (New Yongsan), and take a pleasant walk toward the river, even enjoying the moon’s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the river and the gentle breeze of a summer night. Young men and women packed the areas under the Hangang Railway Bridge and the guardrails on either side of the Hangang Bridge.

The popularization of summer recreation at the Hangang River was also connected to the introduction of swimming in the modern sense of the word. International swimming strokes were introduced to Korea in the 1890s for training cadets at the Korea Military Academy, the first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litary officers. The Hangang River was an ideal place for swimming practice or races among these future officers.

Popular Spots on the Hangang River


There were three prominent points along the Hangang riverside with swimming pools for people living in Seoul: in front of the West Ice Storage (Seobinggo), around the Hangang Railway Bridge, and at Ttukseom Island, one of the islets formed along the river. The West Ice Storage pool was the first swimming pool in Korea. To encourage public access, discount round-trip tickets were issued for students and teaching staff at the nine elementary schools associated with the Seoul School Union, and extra trains were dispatched to carry people to the pool.

Boat rides on the Hangang River from the April 13, 1936 edition of the Dong-A Ilbo
(Photo courtesy of Kim Youn-jeoung)



A pool at Seoul Public Middle School (today’s Seoul High School).
The pool was opened on June 12, 1932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closed some time before
1944 when an air-raid shelter was constructed on the site.
(Photo courtesy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n addition to swimming and taking nighttime promenades, boating was very popular on the river. People took paid boat rides along the Hangang River to appreciate the scenery. More affluent citizens hired a ferryman and enjoyed drinking on boats to the accompaniment of dance and music.

Ttukseom Island served as a port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overland transport system. Goods bound for the Gangwon and Chungcheong regions mainly departed from the Ttukseom port. With the advancement of roads and railways, however, the cargo handled at Ttukseom Island gradually dwindled. Its decline was accelerated by a devastating flood in 1925. Starting in the 1930s, the riverside island gained new fame as a spot for swimming and other leisure activities. The sharp increase in excursionists to Ttukseom Island in the 1930s was largely credited to the opening of a new railway line spanning the four kilometers from the Wangsimni area to the island.

The Hangang River has long been engrain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lives of Seoulites. Particularly in the summertime, the river offered a vital resource for fighting the intense heat: swimming pools. The gentle riverside breeze and refreshing waters presented by the Hangang River were a critical source of comfort for those who had to sweat all day under the sun to make ends meet. Koreans of the early 20th century were no different from people today in seeking a source of inspiration and refreshment at the Hangang River.





경성부민의 여름 나기, 한강변 수영장



지금으로부터 백 년 전, 사람들이 혹서를 견디는 풍경은 어떠했을까. 그늘진 처마나 길거리 나무 밑으로 온 가족이 총출동하고, 냉수와 부채질, 아이스크림과 빙수로 더위를 해결할 수 없으면 결국 서늘한 바람을 느낄 수 있는 산과 물을 찾아 떠났다. 서울 사람들에게 가장 만만한 곳은 한강 변이었다. 오늘날에도 서울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쉼터인 한강 변의 1910년대 모습을 살펴본다.


경성부민의 물놀이와 한강 변의 부상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물놀이’ 하면 으레 해수욕장과 수영장을 생각하듯, 전통 시대에도 물놀이는 빼놓을 수 없는 피서법이었다. 서울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곳곳마다 계곡이 있었다. 계곡마다 맑은 물이 흐르고 여기에 발을 담그면서 더위를 식히는 모습은 전통 시대부터 흔히 볼 수 있는 여름 풍경이었다.

한강도 여름철에 꽤 유용한 물놀이 공간으로 기능했다. 한강에 수영장이 생기기 훨씬 전인 1913년 신문 기사에서, 용산강 근처에서 고기 잡고 헤엄치며 피서했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서울 사람들에게는 한강에 나가는 것은 특별한 여가 활동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일상에 스며든 친숙한 일이었다. 한강 변에서 피서했다는 자료를 조선 시대나 일제강점 이전의 자료에서 찾기 힘든데, 이는 바로 이 ‘일상성’에서 비롯한 이유일 것이다.

여름 한강에 본격적으로 다수의 군중이 몰려들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우선 교통체계의 역할이 크다. 전차 정거장과 연결된 한강 인도교 수영장, 경성 궤도를 통해 시가지와 연결된 뚝섬 수영장, 특별열차를 운행한 서빙고 수영장 등 한강 변으로 다수가 모일 수 있는 ‘수단’이 생긴 것이다.

특히 1910년 한강철교 부설과 1917년 인도교 부설은 교통체계의 편리함을 넘어 ‘볼거리’를 제공했다. 근대식 교량이 신설된 모습이 갖는 시각적 효과는 상당했다. 조선 시대 임금이 도강할 때 만든 주교(舟橋)만 봐 왔던 경성부민에게는 다리 자체가 구경거리였을 것이다. 또 다리 밑은 낮에는 뙤약볕을 피할 수 있었고, 밤이 되면 수백 개의 전등이 독특한 풍취를 자아내면서 한강 변이 여름철의 ‘노는’ 공간으로 대중화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전차 노선이 용산, 마포, 노량진까지 그 범위가 넓혀지면서 도심에서 한강에 이르는 지역이 모두 하루에 거쳐 갈 수 있는 일정에 들어가게 되었다. 신용산 종점에 내려 한참 가면 한강 물 중천에 떠 있는 달빛과 가늘게 부는 저녁 바람을 받으며 산책을 즐길 수 있었다. 한강철교 아래로부터 인도교 좌우편 난간에는 젊은 남녀 천지였다.

또 수영의 발달과도 무관치 않다. 전근대에는 수영이라기보다는 사전적 의미에서의 ‘유영(遊泳)’, 즉 미역을 감거나 가장 자연스러운 영법인 ‘개헤엄’을 즐겼다. 본격적으로 근대적 수영 영법이 전해진 것은 1890년대부터 무관학교 학도들의 훈련 수단으로 수영 영법을 가르친 것이 시초로 보인다. ‘풀’이 생기기 전이었던 당시 수영법 교습이나 수영대회를 열려면 강가나 바닷가의 가설 풀이 최적지였을 것이다.


한강 수영장의 이모저모


대표적인 한강 변의 수영장은 세 군데가 있었다. 서빙고 앞, 한강철교와 인도교 주변, 그리고 뚝섬이다. 서빙고 앞 한강 변은 한강 수영장의 효시로,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경성관리국은 서빙고 한강 변에 가는 학생들을 위해 경성 학교조합에서 관리하는 9개 소학교 아동과 직원들에게 왕복 할인 승차권을 발행하고 임시열차도 운행했다.

한강은 수영객과 밤의 산책객 외에 보트 놀이를 하는 선유객도 많았다. 강 위를 왕래하는 보트는 1921년 여름의 경우 한 시간에 40~50전가량이면 탈 수 있었다. 보트 놀이는 용산, 서빙고, 뚝섬 가리지 않고 유행했다. 사공이 딸린 ‘놀잇배’[遊船]도 있었는데 술상을 차려 놓고 기생들이 장구를 치고 노래를 부르며 놀았고 상류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이용했다.

뚝섬의 경우 교통이 발달되기 전에는 한강 상류에서 충북 강원 등 각지로 이동하는 물화를 거의 이 뚝섬 선창에서 배로 실어 냈기 때문에 뱃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번창했다. 그러나 교통이 편해지면서 뚝섬에 모이는 물화가 줄고, 1925년 홍수로 집까지 많이 줄어들면서 점차 쇠퇴했다. 1930년대부터는 오히려 포도, 양딸기, 수영장, 방수림 등으로 사대문 안 사람들의 하루 행락지로서 더 유명한 곳이 되었다.

뚝섬 나들이객이 1930년대 급증한 것은 사설 철도인 ‘경성교외궤도주식회사’가 왕십리에서 동뚝섬까지 4km의 노선을 만들어 운행하고 나서부터다. 1932년부터는 동대문에서 왕십리까지 연장선을 준공해서 운전했다.

이렇게 한강은 휴양지로, 삶의 터전으로 오랜 세월 서울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한여름에는 하루에도 2만~3만 명이 찾을 만큼 경성부 물놀이의 핵심이었고,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이나 낚시터로 변신했다. 더위에 시달려도 땀에 전 채 하루하루를 벌어먹는 사람들에게 바라만 보아도 시원한 한강의 검푸른 물과 서늘한 강바람은 없어서는 안 될 위안처였다. 낮이나 밤이나 한강에 몰려 나가는 모습은 현재 봄부터 가을까지 한강공원을 찾는 서울 사람들의 일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