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ature

The Madang: A Multi-functioning Cultural Space

By Hwang Ji-hae


This is a leaf from an album of paintings depicting a hoehollye, a celebratory wedding ceremony held in commemoration of 60 years of marriage. A joyous event commemorating a couple’s longevity and wellbeing, hoehollye became increasingly popular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era.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irewood is stacked, grains and vegetables are dried in the sun, farming tools are set out ready for use in the coming harvest season, and rice is threshed: All of these things take place in the madang, a flat open space that is a key part of any traditional Korean house (hanok). Although they may now prefer the comforts of more modern housing, many Koreans living in urban areas maintain a strong nostalgia for traditional Korean houses. They might hold childhood memories of enjoying steamed corn or chilled watermelon on a hot summer night seated on a low wooden bench in the front yard of their grandparents’ house in the countryside. A madang is not just an empty space within the house, but a multi-functional cultural space indispensable for the collectiv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life.



The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Life

A traditional Korean house is incomplete without some form of madang, whether small or large. There can even be more than one madang within a large home composed of multiple units, such as the master’s quarters, women’s quarters, and the quarters attached to the gate. Madang does not only refer to the courtyard within a walled home, however: It can also be used for an empty piece of ground outside the front gate of a house or an open space under the neighborhood’s tutelary tree, near a community pavilion, or around a communal well. Conceived as a space transcending the public-private dualism and allowing a diverse range of activities, madang were central to traditional Korean lif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Korean word madang-soe refers to a servant who takes care of general household affairs.


For Solidarity and Connection

A madang links the different spaces within a home, provides a play area for children, and serves as for a venue for family ceremonies. It is a versatile space accommodating diverse purposes. Community events organized as part of a village festival or seasonal customs were also held in a madang, whether a spacious one in an aristocratic yangban house or a public madang. One of the classic community events held in a madang is mask dance (talchum). Traditional mask-dance dramas are characterized by biting satire of the yangban aristocracy. In the strict hierarchical society of Joseon, free criticism of the yangban class was only allowed within this theatrical tradition of talchum held in a madang. During a mask dance performance, the madang was transformed into something beyond the everyday, but with the completion of the performance it recovered its quotidian character.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e madang provided a venue for people living under the pressures of a rigorous class system to vent their feelings and gain release. Enjoying performances gathered in a madang, they could also nurture a sense of togetherness.

As demonstrated by diverse labor-sharing customs such as durye (“farmers’ cooperative”), pumasi (“communal sharing of labor”), and hyangyak (“community compact”), traditional Korean society was defined by a strong collectivist culture. It was of paramount importance in the Joseon era to imbue community members with feelings of belonging and solidarity. Madang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drew on this collectivist spirit to develop a unique madang culture.



Filled with Sunlight and Wind

As a flat, compacted open ground, a madang is open to the sky and incorporates the influences of nature. The seemingly empty space of a madang is actually filled with sun and wind. On a hot summer day, the air in the front yard of a Korean house heats quickly and rises while cool air from the mountains to the rear of the house descends. This helps keep traditional Korean houses relatively cool in the summer. Meanwhile, the front yard reflects sunrays into the indoor spaces of the house in winter. Yards in a traditional Korean house are not planted with grass because this would reduce the amount of sunlight reflected into the house. The madang is also left empty to promote lighting and ventilation. The traditional wisdom of compensating for the extreme weather conditions of summer and winter is reflected in a madang.


An Outdoor Extension of the Indoors

The Confucian ideology that dominated Joseon society emphasized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A madang put distance between the master’s quarters and the women’s, preventing the line of sight from freely crossing the female space. In addition to functioning as a visual obstacle, a madang annexed to each architectural unit served as an entryway into the indoor spaces that can only be reached after crossing it. Based on this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indoor space, the madang came to assume the social functions that could not be accommodated indoors.

Whenever a large family event was held, the madang in the house became an extension of the indoor space. Foods were prepared in the madang closest to the kitchen. When a wedding ceremony or funeral was held, the madang was used as a space for serving food to guests. During an ancestor worship ritual, family members would make deep bows standing in a madang but facing a ritual table set indoors.

A madang is a transformative and versatile concept: It can be private or public, vary widely in size, freely switch between the mundane and the sacred, and serve as an interior or exterior space. Madang magn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ing space. Madang allow the units within a house to be smoothly connected, respect the natural rhythms of traditional Korean life, and improve the versatility of the space.


Left Empty for Being Filled

A madang manifests the aesthetics of emptiness. They are supposed to be left empty, with little vegetation allowed. Without the stone and earthen walls or hedges marking the area of a madang, it would be simply an empty piece of ground. Some say that the essence of a space is not its boundaries, but the emptiness within them. A madang respects the Taoist significance of emptiness. Although the indoor area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may be small, the madang adds an extra sense of spaciousness to the house. When the doors and windows are opened, the indoor space extends out into the madang and immediately provides a feeling of expansiveness.

Koreans’ traditional respect for nature has supported the cultural practice of maintaining a madang as an unadorned piece of ground rather than a decorative garden. However, is not left pointlessly empty, but in preparation for upcoming opportunities for it to be filled. Madang are spaces with great potential for versatile transformations. This is why some architects focus on the madang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viability of traditional Korean housing in contemporary society. A madang remains empty so it can be ready for a wide range of activities. Although forms of housing may change over time, a space for sharing like a madang will always be needed.





비움과 채움이 어우러진 공유 공간, 마당


바깥마당 한쪽에 장작을 잘 쌓아두고 안마당 양지바른 곳에는 곡식과 채소를 말린다. 수확 철이 되면 쟁기를 비롯한 각종 농기구를 마당 한 편에 세워두고, 타작하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현대의 주거생활이 가져다준 편리함에 익숙해져 있지만 이처럼 시골집 마당에 대한 향수는 강하게 남아 있다. 한여름 밤 무더위를 피해 볼 요량으로 가족이 둘러앉아 옥수수나 시원한 수박을 먹곤 했던 어린 시절 기억 속에도 어김없이 마당이 자리한다. 그저 들마루 하나 내어놓을 정도면 충분했으니 마당의 크기는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비어 있는 듯하나 자연을 품은 지혜와 민속문화로 채워진 우리들만의 다기능 복합문화공간 마당, 그 속으로 발을 디뎌본다.



생활의 중심, 마당

우리의 전통가옥은 아무리 규모가 작을지라도 반드시 마당을 가지고 있다. 여러 개의 마당을 가진 경우 행랑마당, 사랑마당, 안마당, 샛마당(건물과 건물 사이), 중마당(마당과 마당 사이)을 집 안에 두었다. 마당의 위치는 집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바깥마당, 동네마당(동네 사람들이 모여 노는 정자나무 아래), 정자마당(동네 마당에 정자가 마련되어 있을 경우), 우물마당 등 공적인 영역에 위치한 마당에서 마을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졌다. 이처럼 저마다의 위치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지닌 마당은 집 안팎을 넘나드는 생활 속의 중심 공간이었다. 심지어 마당을 중심으로 집안일을 두루 맡아 하던 이를 일컬어 ‘마당쇠’라고 불렀으니 마당의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으리라.


소외와 고립이 존재하지 않는 마당 문화

이름만으로도 아늑함을 전해주는 마당은 가옥 내 공간을 이어주는 통로의 구실뿐만 아니라 일터, 놀이터, 각종 대소사를 행하는 장소로써 생활의 중심이 되어왔다. 만남의 장소이자 작업 장소, 놀이의 장소였으며, 각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적이고 다변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1년에 두어 차례 열리는 마을 축제인 탈놀이도, 정월 대보름의 마당밟기(지신밟기)와 윷놀이도, 판소리도 마당에서 펼쳐졌다. 유교 사상이 지배하던 조선 시대에 반상 구별의 엄격함 속에서도 양반집 마당이나 마을 마당에서 벌어지던 탈춤판. 그 시공간에서만큼은 민중이 양반을 조롱하고 비판하는 내용의 탈춤 연행이 허락되었고, 그 장소는 비일상의 공간이 된 마당이었다. 한바탕 탈놀이가 끝나면 마당은 다시 일상의 마당으로 돌아왔다. 이처럼 마당은 사회구성원의 분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재충전의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였다.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즐기면서 사회적 유대감을 완성시키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우리의 전통사회는 두레와 품앗이, 향약에서 나타나듯이 혼자가 아닌 이웃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 문화를 중시했다.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공통된 가치를 공유하고 심리적인 연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우리’라는 정신을 갖게 해주었다. 이러한 공동체 정신과 오랜 정서를 바탕으로 마을 구성원들은 마당의 공간뿐만 아니라 마당 문화를 공유하였다.


햇볕과 바람이 머물다 가는 곳

시선의 막힘이 없어 하늘과 땅을 통해 자연의 변화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마당. 비어 있는 듯하지만 햇빛을 담아내고 바람을 받아들인다. 여름 한낮에 노출된 마당은 뜨겁게 데워져 공기가 상승하는 한편, 집 뒷산의 찬 공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워져 산비탈을 따라 마당 쪽으로 내려와 대청 뒷문을 빠른 속도로 통과한다. 한여름 대청마루가 시원한 비결이다. 반면 겨울에는 햇볕을 마당에 반사시켜 집안으로 끌어들인다. 한옥 마당에 잔디를 깔지 않는 이유도 집으로 반사되는 볕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마당에 나무를 과하게 심지 않고 여백의 공간으로 남기는 것 역시 통풍과 채광을 위해서였다. 뜨겁고 습기 많은 한여름과 추운 겨울을 마당을 통해 조절했던 우리 선조들. 지혜로움이 발휘되었기에 자연 자체와 동화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었다.


마당, 다기능 복합문화공간

마당은 여성의 공간인 안채와 남성의 공간인 사랑채의 거리를 적당히 유지시켜 방문객의 시선을 중화시키는 기능도 담당했다. 그러면서도 안채는 안마당과 뒷마당을 동시에 면하고 있어 겹의 공간을 연출한다. 각 채의 출입은 마당이라는 공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니 외부가 아닌 내부 공간의 홀(Hall)과 같은 기능이 있다. 내부 공간에서 다하지 못한 건축적 기능을 대신하는 공간인 셈이다.

이와 같은 마당의 기능 확장은 집안에서 큰일을 치를 때에도 여실히 드러난다. 우선, 아예 부엌과 가까운 안마당에서 음식을 만든다. 혼례식 때는 사랑마당에 전안청(奠雁廳)을, 안대청에는 초례청(醮禮廳)을 마련한다. 이때 안마당은 안대청과 함께 손님 접대 공간이 된다. 초상을 치를 때에도 손님 접객 공간으로 마당이 활용된다. 간혹 대청에 제상을 차리고 마당에서 엎드려 절을 올리는 제례 공간으로 쓰이는 사례도 있다. 안마당과 사랑마당에 차일을 쳐서 확장된 공간을 마련하여 내부 공간이 못다 한 기능을 전담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의 마당은 공적인 영역에서 사적인 영역으로, 큰 규모에서 작은 규모로, 범속한 곳에서 신성한 곳으로 넘나들며, 외부 공간이자 내부 공간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 독특함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생활 공간이자 생업을 위한 작업 공간으로 마당을 사용함으로써 주거 내의 대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막힌 공간, 웅장한 공간보다는 부드럽게 이어지고 생활의 리듬에 따라 공간의 융통성을 중시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바로 마당이다.


비움으로써 채워지는 마당의 특별함

마당을 통해 여백의 미를 찾아볼 수도 있다. 마당에는 아무것도 두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마당에 식재를 많이 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겨둔다. 이렇다 보니 담장을 두르거나 축담을 쌓고, 그도 아니면 나무를 심어서 영역감을 확보했을 때 비로소 마당의 공간감이 다가온다. 공간의 핵심은 ‘공간을 구성하는 벽이 아니라 벽이 구성한 공허함’이라 했던가. 비워야 진정한 쓸모가 생긴다는 노장사상(老莊思想)의 가르침을 좇아 전통가옥의 마당은 비어 있기에 편안하고 더욱 여유롭다. 우리 전통가옥의 내부가 좁아도 집안이 넓어 보이는 것 또한 바로 마당이 있기 때문이다. 한옥의 방들은 창을 여는 순간 넓은 마당으로 확장되어 좁은 공간을 보상받는다. 마당 덕분에 내부 공간은 더욱 그윽하고 풍부해지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의 마당이 치장된 정원이 아닌 빈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자연환경에 순응하며 지세(地勢)를 인공화하지 않는 원칙과 활용성을 중시한 까닭이다. 따라서 마당은 빈 공간이지만 단순히 비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로 다음에 채워질 준비를 하고 있는 공간이다. 즉, 무한히 확산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건축가들이 마당을 제3의 건물이라 일컬으며 한옥의 생명력을 마당에서 찾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어있는 듯 하지만 자연을 담고 문화로 채워진 생활의 중심, 마당. 공공성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지만 즐기고 공유하는 공간의 필요성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